<p></p><br /><br />우리나라는 어떨까요. <br> <br>위안부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해 평화의 소녀상이 전국 곳곳에 세워졌는데요. <br> <br>세울 때도 문제가 많고 관리도 제대로 안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소녀상의 건립 취지마저 훼손되지 않을까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건영 기자의 더깊은뉴스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홍익대 앞 삼거리. <br> <br> 평화의 소녀상을 실은 지게차를 두고 실랑이가 한창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막지 마세요! <br>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막지 마세요!" <br> <br>[현장음] <br>"절차를 지키십시오! 법을 지키세요!" <br><br>금방이라도 큰 싸움으로 번질 듯한 일촉즉발의 상황. <br> <br>과연 무엇이 문제일까. <br><br>소동이 벌어진 며칠 뒤 찾은 홍익대 정문 앞. <br> <br>대형화단과 번호판 없는 차량이 일대를 막고 서있습니다. <br> <br>소녀상 건립을 추진하는 측에선 홍대 정문 부근이 국유지인만큼 설치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이봉수 / 마포구의원 (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)] <br>"위안부 소녀들이 신의주를 거쳐 중국으로 끌려갔던, 집결했던 곳이 바로 마포였습니다. 마포는 슬픈 역사를 가졌던 곳 중 하나…" <br> <br> 하지만 학교 측은 사전 논의가 전혀 없었다며 반대 뜻을 굽힐 생각이 없습니다. <br><br>[홍익대학교 관계자] <br>"외국인 학생들이 왔다갔다 하는 국제 학문의 전당에 불편함을 준다면 적합한 장소가 아니다. 하물며 우리 학교에 대해서 합의의 절차가 있었냐는 것이죠." <br> <br>추진위 측이 다음 달 소녀상 제막식을 다시 시도할 계획이지만 이 또한 불투명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지난 2011년, 천 번째 수요시위를 기념하며 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. <br> <br>현재 전국에 100개 넘는 소녀상이 세워진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> <br> 소녀상이 설치되는 곳은 국가나 지자체 소유 땅이 대부분. <br> <br> 하지만 설치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는 데다 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곳곳에서 분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 대구 소녀상의 경우, 도로법상 허가 대상이 아니라는 구청의 반대로 하루 전날에야 설치 장소가 확정되는 촌극을 빚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 어렵게 세워진 이후 관리는 더 큰 문젭니다. <br><br>"서울 동작구에 있는 소녀상입니다. <br> <br> 멀리서 언뜻 봤을 때는 꽃다발이 놓여있는 등 시민들의 관심을 듬뿍 받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살펴보면 먹다 남은 커피잔이 이렇게 나동그라져 있고요. <br> <br> 손등에는 불법 광고 부착물의 흔적도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지만 관리가 절실히 필요해 보입니다." <br> <br>주변에 널린 쓰레기와 담배꽁초들은 소녀상 주변을 청소하긴 하는지 의심이 들 정돕니다. <br><br> 다른 지역에 있는 소녀상도 찾아가 봤습니다. <br> <br>소녀상 주변에서 놀던 아이들이 발견한 것은 먹다 뱉은 사탕이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으 더러워. 이거 맛있는 냄새가 나." <br> <br> 매주 수요일 소녀상을 청소하는 민영록 씨. <br> <br>[민영록 / 동탄 평화의 소녀상 지킴이] <br>"모자를 벗겨가기도 하고. 옷을 입혀 놓은 것도 가져가시고. 보면 발 사이에 누군가가 이렇게 끼워놓고 가요." <br> <br>시청에 몇 차례 민원도 넣어봤지만 별다른 반응이 없자 자발적으로 청소를 시작한 게 벌써 2년째입니다. <br> <br>[민영록 / 동탄 평화의 소녀상 지킴이] <br>"청소한다든지 하는 관리들은 전혀 안 되고 있는 상황이에요. 그게 잘 안 되고 있기 때문에 나라도 청소를 좀 해야 되겠다." <br><br> 전국 소녀상 가운데 지자체의 관리를 받는 공공조형물로 지정된 경우는 지난 1월 기준, 12곳에 불과합니다. <br><br> 정부나 지자체의 공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다 보니 애꿎은 수난을 겪고 있는 경우가 파다한 상황. <br> <br> 전국 소녀상의 절반 이상을 만든 조각가는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합니다. <br> <br>[김서경 / 평화의 소녀상 조각가] <br>"(소녀상을) 함부로 하는 분들로 인해서 많이 속상하고 있긴 하지만 청소라던가 CCTV 관리라던가. 지자체의 도움이 있으면 <br>조금 더 적극적으로 이 부분들이 해결이 되겠죠." <br> <br> 소녀상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지자체가 협조할 수 있는 법안들이 발의됐지만 국회 통과는 기약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[김해영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대부분 소녀상의 경우 시민 주도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. (법안 발의로) 법적 근거가 없다는 논리를 불식시킬 수 있을 것 같습니다." <br> <br>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고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자는 일념으로 세워진 소녀상. <br> <br>소녀상의 본래 취지를 지킬 수 있는 관리체계 구축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이용수 / 위안부 피해 할머니] <br>"소녀상을 세워놓고 돌보지 않는 이거는 너무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. 소녀상이 저한테 힘이 됩니다. 귀중한 소녀상을 지켜주셨으면…" <br> 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 <br> <br>박건영 기자 change@donga.com <br>연출 김남준 <br>글·구성 전다정 김대원 <br>그래픽 김승훈